겨울철 작물 요소비료 계약물량 공급 여력 충분

김PD
2021-12-06
조회수 429

-전남 959톤, 경남 172톤, 제주 679톤 배정


□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 11월 17일(수) 오후, 전남 여수시 남해화학(주) 여수공장을 방문하여 비료 원료 수급 동향 및 비료 생산 현장을 점검하였다.

□ 김현수 장관은 국제적인 에너지(석탄, 가스) 가격 상승, 중국의 수출통제 등으로 비료 원료 수급이 불안정한 상황에서,

ㅇ 지난 11월 12일부터 농협과 남해화학 등에서 공급하고 있는 남부지역 동계작물 재배용 요소의 특별공급 상황을 점검하고 관계자를 격려하였다.

ㅇ 동계작물 재배용 요소(1,810톤)는 전남(959톤), 경남(172톤), 제주(679톤) 등 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차질없이 공급되고 있으며, 12월부터 순차적으로 그 외의 지역에 370톤이 공급될 계획이다.

    * 11.12일부터 특별공급되는 동계작물용 요소비료 1,810톤 중 1,042톤을 남해화학이 담당

ㅇ 최근 남해화학 등에서 카타르, 사우디 등 중국 외의 국가로 수입선을 다변화하는 노력의 성과로 114,700톤의 요소비료를 계약하였다.

< 11.1.∼11.16. 비료회사의 요소비료(원자재) 확보상황 >

남해화학

풍 농

팜한농

조비

114,700톤

중동, 베트남 등 100,000톤

7,900톤

3,800톤

3,000톤

□ 김현수 장관은 “농업인들의 영농활동에 지장이 없도록 정부에서도 최대한 필요한 지원을 강구하겠다“라며,

ㅇ 요소비료의 조기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”업계에서도 원자재 수급 안정 및 비료 생산을 위해 최선을 다해 줄 것”을 요청했다.


농식품부, 2022년 예산 및 기금 16조 8,767억원 확정


’22년 농림축산식품부(장관 김현수, 이하 농식품부) 예산은 국회 예산 심의 과정에서 정부안(16조 6,767억원)보다 2,000억원 증가된 16조 8,767억원으로 확정되었다.

      * 연도별 농식품부 예산(억원): (’18) 144,996 → (’19) 146,596 → (’20) 157,743 → (’21) 162,856

  ○ 이는 올해 예산 16조 2,856억원 대비 5,911억원, 3.6% 증액된 수준이다.

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는 비료가격 부담 경감, 먹거리 지원 사업, 농림수산업자신용보증기금 출연 등 주요 사업에 총 2,189억원이 추가로 반영되었다.

󰊱 (비료가격 부담 경감) 요소 수급 불안 등에 따른 무기질비료 가격 상승 전망에 대응하여 농업인들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 지원방안을 마련하였다.

  ○ (비료 할인판매) 무기질비료 가격 상승으로 인한 농업인의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우선 농협이 ’22년 무기질비료 가격상승분의 80%를 부담하고,

    - 그 부담액은 정부·지자체·농협 등이 사후 협의하여 분담하되 정부는 적정예산을 반영하는 내용으로 예산 의결서 부대의견이 확정되었다.

  ○ (금융지원) 농업자금 이차보전 확대(2,640억원 → 2,803 / +163)를 통해, 농가와 비료생산업체에 대한 금융지원을 강화한다.

    - 올해처럼 내년에도 농업경영자금의 금리를 1%p 인하하여 농업인의 경영비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99억원을 지원한다.

    - 비료생산업체 대상 무기질비료 원료 구입 자금 융자 규모를6,000억원으로 확대하고, 융자 금리를 3%에서 무이자로 인하하도록 예산 64억원을 반영하여 비료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인한 생산업체의 부담도 완화한다.

󰊲 (먹거리 지원) 초등돌봄교실 과일간식 72억원, 취약계층 농식품 구매 바우처 89억원, 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지원 158억원 등 먹거리 지원 사업은 올해 예산 수준인 319억원으로 확정되었다.

  ○ 이로써 초등학생, 취약계층, 임산부의 영양·건강 상태를 개선하고, 농축산물 소비기반 마련을 위한 먹거리 지원 사업을 내년에도 계속해서 이어갈 수 있게 되었다.

󰊳 (신용보증) 귀농인 등 증가하는 보증수요에 대응하고, 담보력이 부족한 농업인에게 좀 더 원활하게 신용보증을 공급될 수 있도록 농림수산업자신용보증기금 출연금을 1,300억원 규모로 확대하였다.

󰊴 (밭농업 기계화) 농업인력 의존도가 높은 마늘·양파 재배 전 과정의 기계화를 촉진하여 농촌의 인력감소에 대응할 수 있도록 기계화 시범단지 조성예산 35억원을 반영하였다.

󰊵 (탄소중립) 농업·농촌의 탄소중립 이행을 위한 기술개발 및 보급, 실태조사 등의 예산도 추가로 증액되었다.

  ○ (논물관리 기술) 벼 재배 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도록, 대단위 쌀 생산단지에 간단관개, 논물 얕게대기 등 논물관리에 필요한 농기자재와 연구 장비 등을 지원(28억원 신규)한다.

  ○ (소 사육방식 개선) 소 사육 시 발생하는 메탄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 사육모델 마련에 20억원을 확대(정부안 26억원 → 46억원)하여, 더 세밀한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.

  ○ (축산환경 실태조사) 축산환경조사 예산 14억원이 추가 반영(정부안 14억원 → 28억원)되어, 정확한 실태 파악을 기반으로 한 축산 부문 탄소중립 체계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.

󰊶 (농축산물 할인) 농축산물 소비를 활성화하고, 소비자의 장바구니 물가 부담을 줄여줄 농축산물 할인쿠폰 사업이 계속되게 된다.

  ○ 총 390억원 규모로, 내년에는 약 380만 명의 소비자들에게 신선 농축산물 할인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.

󰊷 (채소가격 안정) 주요 채소류의 수급 조절 물량을 평년 생산량의 17%에서 20%로 확대할 수 있도록 채소가격안정제 예산이 67억원 증액(정부안 385억원 → 452억원)되었다.

     * ’21년: 배추, 무, 고추, 마늘, 양파, 대파 등 6개 품목 평년 생산량의 17% → ’22년 20%

  ○ 기후변화 등으로 농축산물 가격 불안정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, 주요 채소류에 대한 수급 조절 기능을 강화하여 내년도 물가 안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.

이 외에도 농업 SOC 142억원, 노후농공단지 첨단화 3개소(28억원, 1년차), 청년농촌보금자리 1개소(8억원, 1년차), 공공급식 식자재유통센터 설립 1개소(3억원, 1년차) 등 농업·농촌 발전을 위한 예산이 추가로 반영되었다.

한편, 집행이 부진한 일부 사업에 대해서는 예산이 조정(△189억원)되었다.

      * 가축분뇨처리지원(융자) △61억원, 원예시설현대화 △44, 노후농업기계 미세먼지 저감대책 지원 △42, 농업에너지이용효율화(융자) △15, 농식품글로벌비대면마케팅 △7 등

농식품부는 사업추진에 필요한 절차를 조속히 진행하는 등 ‘22년 예산집행에 차질이 없도록 준비할 계획이다.


* 본 저작물은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습니다.

https://www.mafra.go.kr/mafra/293/subview.do?enc=Zm5jdDF8QEB8JTJGYmJzJTJGbWFmcmElMkY2OCUyRjMyODY1NSUyRmFydGNsVmlldy5kbyUzRg%3D%3D

3 2

Tel. 070-8872-2788 / 070-7579-4544 | Fax 070-7547-4044

BN. 124-87-04749 | psbio@daum.net

29, Cheongwon-ro 231beon-gil, Mado-myeon, Hwaseong-si,

 Gyeonggi-do, Republic of Korea


© 2019 POONGSANBIOCERAMIC CO.,LTD. ALLRIGHTS RESERVED


Hosting by I'MWEB



Location

Addr

경기도 화성시 마도면 청원로 231번길 29

MAIL  psbio@daum.net




Reservation

Mon ~ Fri  /  am 10:00~18:00 

Tel 02-8872-2788




Tel. 070-8872-2788 / 070-7579-4544 | Fax 070-7547-4044 | psbio@daum.net
29, Cheongwon-ro 231beon-gil, Mado-myeon, Hwaseong-si, Gyeonggi-do, Republic of Korea

© 2019 POONGSANBIOCERAMIC CO.,LTD. ALLRIGHTS RESERVED

Hosting by I'MWEB